관리 메뉴

건방진 방랑자

[스크랩]자전거 기어 조정법 본문

건빵/정보

[스크랩]자전거 기어 조정법

gunbbang 2016. 8. 25. 09:59

변속기 조정, 브레이크 조정

 

 

 

자전거 조립

 

 

 

시마노 앞 변속기 조정(앞 드레일러 세팅) 방법



 

앞 드레일러의 경우 등급에 따라 별 차이가 없으므로 그림을 보면서 따라하면 쉽고 정확하게 앞 드레일러 세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앞 변속기와 뒤 변속기의 세팅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변속 트러블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변속할 때 체인이 스프라켓(1단 또는 9)이나 체인링(1단 또는 3)에서 이탈하여 프레임에 심한 흠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로우(저단) 조정이란 저단 기어 범위의 조정을 말하며, 위 그림에서와 같이 앞 드레일러를 장착한 후 체인을 가장 큰 스프라켓과 가장 작은 체인링에 위치시킵니다.

그런 다음 드라이버로 로우 조정 나사를 돌려 체인 가이드 이너 플레이트와 체인 사이의 간격이 0 - 0.5mm 정도로 유지되도록 조정합니다.

그림에 나온 바와 같이 조정 나사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드레일러 체인 가이드 이너 플레이트가 A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B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체인 가이드 이너 플레이트와 체인 사이의 간격이 권장 조정 범위(0 - 0.5mm)에 놓이도록 로우 조정 나사를 조정하면 됩니다.

라이딩 중에 1단 체인링으로 변속할 때 체인이 빠질 경우 체인이 체인 스테이에 흠집을 내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라이딩 중 1단 체인링으로 변속할 때 체인이 빠지는 경우는 대부분 로우 조정상태가 불량한 경우입니다.

1단 체인링으로 변속할 때 1단 체인링에서 체인이 이탈되는 것을 줄이려면 체인이 가장 큰 스프라켓(9단 스프라켓)과 가장 작은 체인링(1단 체인링)에 놓인 상태(“로우 조정”)에서 체인이 체인 가이드 이너 플레이트에 거의 닿을 정도로 세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경우 체인이 이너 플레이트에 닿아 약간 스치는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1단 체인링으로 변속시 체인이 빠져서 체인 스테이에 심한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려면 먼저 위와 같이 체인 가이드 이너 플레이트와 체인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가깝게 세팅하고, 체인 스테이의 앞쪽, 체인링 1-3단 부근 체인 스테이에 테이프, 호스, 케이블 타이 등으로 체인이 이탈했을 때 체인 스테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체인 스테이를 감아 사용하면 흠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고단) 조정이란 고단 기어 범위 조정을 말하며, 위 그림에서와 같이 체인을 가장 작은 스프라켓과 가장 큰 체인링에 위치시킵니다.

그런 다음 드라이버로 탑 조정 나사를 돌려 체인 가이드 아우터 플레이트와 체인 사이의 간격이 0 - 0.5mm 정도로 유지되도록 조정합니다.

그림에 나온 바와 같이 조정 나사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드레일러 체인 가이드 아우터 플레이트가 A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B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체인 가이드 아우터 플레이트와 체인 사이의 간격이 권장 조정 범위(0 - 0.5mm)에 놓이도록 탑 조정 나사를 조정하면 됩니다.

중간 체인링 조정이란 고단과 저단의 중간 기어 범위의 조정을 말하며, 위 그림에서와 같이 체인을 가장 큰 스프라켓과 중간 체인링에 위치시킵니다.

그런 다음 핸들바에 장착된 시프터의 아우터 케이싱 조정 베럴을 돌려 체인 가이드 이너 플레이트와 체인 사이의 간격이 0 - 0.5mm 정도로 유지되도록 조정합니다.

그림에 나온 바와 같이 아우터 케이싱 조정 베럴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A 방향으로 드레일러 체인 가이드 이너 플레이트가 이동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B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체인 가이드 이너 플레이트와 체인 사이의 간격이권장 조정 범위(0 - 0.5mm)에 놓이도록 탑 조정 나사를 조정하면 됩니다.

완전한 앞 드레일러 세팅점검 팁  


중간 체인링 조정시 가장 좋은 세팅은 체인을 크랭크의 중간 체인링에 놓은 상태에서 뒤쪽 가장 큰 스프라켓(1)과 가장 작은 스프라켓(9)으로 시프터로 번갈아 위치시켜 크랭크를 돌릴 때 이너 플레이트(1단의 경우)와 아우터 플레이트(9단의 경우) 각각에서 체인이 스치는 소리가 거의 같거나 거의 나지 않을 때 완벽한 세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1단과 9단 스프라켓에 놓고 크랭크를 돌릴 때 어느 한쪽만 심하게 스치는 소리가 나고 다른 쪽은 스치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면 위의 조정 절차를 반복하여 완벽한 세팅 지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위와 같이 세팅하여 플레이트와 체인 사이의 권장 조정 범위(0 - 0.5mm)로 세팅된 경우 앞 변속기의 큰 트러블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앞 드레일러의 경우, 위와 같은 조정 절차대로 조정하면 완벽한 세팅이 가능합니다. 앞 드레일러의 세팅은 뒷 드레일러 세팅보다 훨씬 더 간단합니다.

 

 

 

시마노 뒷기어 부분

  


  

우선 체인의 길이를 맞춰야 합니다. 크랭크의 큰기어와 스프라켓(Sprocket)의 작은 기어에 체인을 놓았을때 그림과 같이 스프라켓의 중앙과 뒷 변속기의 기어들이 일직선을 이루어 지면과 수직이 되어야 합니다. 2~3도 정도 차이는 상관없겠지만 수직에 가까울수록 해줍니다. 차이가 많이 나면 체인을 끊은 다음 길이를 조절하도록 합니다.

  


  

다음은 그림에 보이는 것과 같이 뒷 변속기에 있는 나사를 조절해서 뒷 변속기의 기어들이 스프라켓의 가장 작은 기어와 뒷 변속기의 기어들이 일직선을 이루게 조절합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뒷 변속기의 기어들이 가장 작은 스프라켓 기어의 오른쪽 표면과 일치하게 조절합니다. (세밀하게 관찰해야 할 겁니다

 

다음은 뒷 변속기 케이블을 끼우고 고정나사에 조이는데, 위 그림과 같이 주의해서 조여 주면 됩니다. 케이블의 초기 장력은 손으로 당겨서 팽팽한 정도로 만들어주면 되는데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케이블을 고정하고 나서 옆으로 당겨 보았을 때 가볍게 늘어날 정도로 당겨서 고정시키면 됩니다. (너무 헐렁하게 하지는 말 것)

 

케이블을 고정했으면 뒷변속기를 조작해서 기어를 끝까지 내립니다. (저속기어, 스프라켓의 가장 큰 기어를 가리킵니다) 역시 위해서 스프라켓의 작은 기어와 일직선을 맞춘 것과 마찬가지로 스프라켓의 가장 큰 기어와 일직선을 맞춰줍니다. 이번에는 그냥 가운데에 맞춰주면 됩니다. 조절나사는 위에서 조절한 나사와 틀리니까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기어를 맞추었으면 옆에 그림과 같은 나사를 조절해서 뒷변속기 기어와 스프라켓 기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합니다. 간격은 가까우면 가까울 수록 좋은데, 두 기어가 서로 닿게 되면 안됩니다. 제일 작은 기어와 제일 큰 기어를 오가면서 조절하십시오.

 

위의 과정까지 전부 마쳤으면 이제는 기어의 세팅을 해주어야 합니다. 기어 케이블을 갈지 않고 세팅만 다시 하시는 분들은 아래 과정만 읽으셔도 됩니다.

  


  

일단 체인은 크랭크의 큰쪽 기어에 맞춰도 되고 작은 기어에 맞춰도 됩니다. 어차피 두 번 다 해야 하니까 편한 기어부터 시작합니다. 자전거 크랭크를 슬슬 돌리면서 스프라켓 기어를 2단에 맞춥니다. 위에서 케이블을 너무 헐렁하게 고정하신 분들은 체인이 1단에서 2단으로 잘 변속되지도 않는데 그렇다고 케이블을 다시 고정할 필요는 없고 옆의 그림에서와 같이 케이블 길이 조절장치를 손으로 돌려주면 됩니다.

 

가장 이상적인 세팅은, 체인이 스프라켓 2단 기어에서 돌고 있을때 오른쪽 그림에서와 같이 3단 기어를 살짝 살짝 건드릴 정도의 세팅입니다. (... 오른쪽 그림의 스파크 모양이 너무 크군요) 하여튼 이 정도의 세팅이 시마노사에서 가장 추천하는 세팅입니다.

 

여기까지 세팅을 한 후 밖에 나가서 타보시기 바랍니다. 몸무게가 실려서 돌아가게 되면 간혹 미세하게 안 맞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공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위에서 조절한 케이블 길이 조절장치를 조금만 조절해주면 됩니다

 

 

 

시마노 앞기어 정비



 

체인은 스프라켓의 가장 큰 기어와 작은 크랭크에 위치시키고 옆의 그림과 같이 나사를 돌려서 앞기어 내측(그림에서 왼쪽) 철판이 작은 크랭크 기어의 왼쪽 표면과 일치하도록 조절합니다.

  


  

케이블을 끼우고 고정나사를 조여주는데, 고정나사를 보면 케이블 홈이 있습니다. 케이블을 홈에 맞춰서 끼운 후 조여줍니다. 조이기 전에 손으로 가볍게 당겨서 팽팽하게 만든 후 조입니다. 고정시킨 후에 옆에서 당겼을때 옆의 그림과 같이 가볍게 늘어잘 정도로 합니다. (너무 헐렁하지 않게 주의!)

  


  

기어를 변속해서 체인이 스크라켓의 가장 작은 기어와 크랭크의 큰기어에 위치하게 합니다. 위에서 했던 방법과 유사하게 나사를 조절하는데, 이번에는 앞변속기의 외측 철판(그림에서 오른쪽)의 안쪽 표면이 크랭크의 큰기어 오른쪽과 일치하도록 세팅합니다. 조절 나사는 위에서 조절했던 나사와 틀리니 주의합니다.

 

여기까지 조절을 하게 되면 앞기어 세팅이 끝나게 되는데 첫 시승때 약간의 미세 조절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앞기어는 뒷기어와는 달리 미세 세팅에 드라이버가 필요하니 염두에 두기 바랍니다.

 

 

 

기어조절법






이 나사의 기능은 체인의 이동 한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 같다.

High나사는 가장 큰 기어 쪽으로의 체인 이동 한계치를 설정하고,

Low나사는 가정 작은 기어 쪽으로 체인이 움직일 수 있는 한계치를 설정한다.

 

1. 앞쪽기어와 뒤쪽 기어를 1단에 놓고 체인이 변속기에 닿을 듯 말듯하게 Low나사를 조정하였다.

  

2. 앞쪽기어를 3, 뒤쪽 기어를 8단에 놓고 High나사를 조정하는데, 실제로 해보니 High나사는 크게 손댈 것이 없었다. 그저 나사 끝이 살짝 닿는 정도로 그냥 두었다

 

3. 변속이 원활하게 되도록 와이어 장력 조절노브를 조였다 풀었다하며 최적의 상태를 찾아보았다


 

 

<와이어 장력조절 노브>



뒷쪽을 보면, High나사와 Low나사, 그리고 와이어 장력조절 노브가 보인다. 두개의 조절나사와 와이어 장력이 적절히 매치되어야 변속도 원활하고 드레일러(앞쪽 변속기)에 체인도 닿지 않는다.

 

그러나 아무리 조절을 해도 3x1(앞쪽3, 뒷쪽1)에서는 드레일러에 체인이 살짝 닿는 것을 막을 수가 없었다. .

 

뒤쪽의 조정방법은

1. 앞쪽기어를 3, 뒷쪽기어를 8단에 놓고 High나사를 돌려서 작은 기어와 풀리가 일직선이 되도록 맞추고,

 

2. 앞쪽기어를 1, 뒷쪽기어도 1단에 놓고 Low나사를 돌려서 작은기어와 풀리가 일직선이 되도록 맞추었다.

 

3. 변속이 원활하게 되도록 뒷쪽 와이어장력조절노브도 조정을 하였다.

 

앞 드레일러 조절

1(작은 기어)에서 2,3(큰 기어)쪽으로 올라갈 경우,  케이블의 장력으로 올라가고

3(큰 기어)에서 2.1(작은 기어)으로 내려올 때는 스프링의 힘으로 내려옵니다.

장력이 약할 경우 123 으로 잘 올라가지 않음 (31로 한 번에 내려갈 경우도 있음)

장력이 셀 경우 321으로 잘 내려가지 않으며 (13단으로 한 번에 올라 가기도함)

 

처음 구입시에 며칠 타다보면 안정화가 진행됨에 따라 한번쯤은 조절이 필요합니다. 오래 타게 되면 케이블이 늘어나서 가끔 장력조절이 필요합니다. 주행하면서 중간 중간에 장력을 조절하여 최적으로 조절하시기 바랍니다.(세워놓고 하는 것 보다  주행하면서 하는 것이 좋겠죠.)

 

돌릴 때에는 케이블을 잡고(왼손)  나사를 케이블쪽()으로 당기면서(오른손)  돌려야 합니다. (내부에 스프링이  있음) 조절나사(바렐)의 위치는  변속 레버쪽과 변속기 쪽에 차종마다 틀립니다(대개 앞 기어는 앞 레버,뒤 기어는 뒤 변속기쪽에~~)


 

 

 

케이블 자체 조정 요령

가장 큰 체인링(3)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는다면 케이블선이 느슨해서 그런 것이다.

이럴 경우 변속기를 가장 작은 체인링(1) 이동시킨 다음 케이블 고정 나사를 풀고 나사(바렐)2번과 같이 조여준 다음 케이블을 손으로 팽팽히 당겨서 고정시킨다.

일반 기어의 경우 케이블이 팽팽해질수록 변속레버의 작은 움직임으로도 쉽게 변속을 할 수 있다.

만약 케이블이 충분히 팽팽한데도 큰 체인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최고 기어의 위치가 잘못 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드레일러(변속기) 범위가 안 맞는다.)

 

체인이 가장 작은 체인링(1) 이동하지 않는 경우 나사(바렐)로 케이블을 약간 느슨하게 해준다.

만약 케이블을 풀어주어도 작은 체인링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최저 기어의 위치조정이 잘못된 것이다.

주행중에 체인이 빠진다면 기어의 위치조정이 잘못된 경우이다.

체인이 체인링 안쪽(작은 체인링)으로 빠진다면 최저 기어의 위치조정을 해주고 바깥쪽(큰 체인링)으로 빠진다면 최고 기어의 위치조정을 다시 해준다

 

아래조절은  구입시 조절상태에서  크게 사고(충격)가 나지 않은 이상은  별 변화 없이 탈수 있습니다.

대충 확인하는 선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단으로 변속을 하면 드레일러가 3단 체인링을 넘어갑니다. 넘어가기 위해 1~3미리 간격이 필요, 3미리보다 높으면  체인이 빠지겠지요.        

*  L(Low 기어 1, H (high기어3잔차에 따라 위치가 바뀔 수 있음



자전거 변속기 조정.hwp


자전거 변속기 조정.hwp
0.7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