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614)
건방진 방랑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TC5X/btryigYbydT/JEHHrmhrnKJDqX5qJemOa1/img.jpg)
주역(周易) 목차 64괘(六十四卦) 1. 건괘 / 중천건(乾卦 / 重天乾 / ䷀)2. 곤괘 / 중지곤(坤卦 / 重地坤 / ䷁)3. 둔괘 / 수뢰둔(屯卦 / 水雷屯 / ䷂)4. 몽괘 / 산수몽(蒙卦 / 山水蒙 / ䷃)5. 수괘 / 수천수(需卦 / 水天需 / ䷄)6. 송괘 / 천수송(訟卦 / 天水訟 / ䷅) 7. 사괘 / 지수사(師卦 / 地水師 / ䷆)8. 비괘 / 수지비(比卦 / 水地比 / ䷇)9. 소축괘 / 풍천소축(小畜卦 / 風天小畜 / ䷈)10. 이괘 / 천택리(履卦 / 天澤履 / ䷉)11. 태괘 / 지천태(泰卦 / 地天泰 / ䷊)12. 비괘 / 천지비(否卦 / 天地否 / ䷋)13. 동인괘 / 천화동인(同人卦 / 天火同人 / ䷌)14. 대유괘 / 화천대유(大有卦 / 火天大有 / ䷍)15. 겸괘 / 지..
고사성어 목차 ㄱ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각주구검(刻舟求劍) 거안제미(擧案齊眉) 계명구도(鷄鳴狗盜) 결초보은(結草報恩) 계륵(鷄肋) 견금여석(見金如石) 괄목상대(刮目相對) 관포지교(管鮑之交) 교주고슬(膠柱鼓瑟) 과유불급(過猶不及) ㄴ 노마지지(老馬之智) ㄷ 독서망양(讀書亡羊) 단장(斷腸) 득롱망촉(得隴望蜀) 도원결의(桃園結義) 단기지교(斷機之敎) ㅁ 미생지신(尾生之信)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문전작라(門前雀羅) 문전성시(門前成市) 모수자천(毛遂自薦) 문경지교(刎頸之交) 망매지갈(望梅止渴) 모순(矛盾) ㅂ 백아절현(伯牙絕弦) 배궁사영(杯弓蛇影) 백안시&청안시(白眼視&靑眼視) 백미(白眉) 방약무인(傍若無人) ㅅ 삼고초려(三顧草廬) 삼인성호(三人成虎) 새옹지마(塞翁之馬) 숙오음덕(叔敖陰德) 수석침류(漱石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pAtk/btrb06BHUkU/xTEG6S7dCvlB5KXkeTZ53K/img.jpg)
묵자(墨子) 목차 1. 친사(親士)12345 2. 수신(修身)123 3. 소염(所染)123456 4. 법의(法儀)12345 5. 칠환(七患)123456 6. 사과(辭過)12345678910 7. 삼변(三辯)123 8. 상현상(尙賢上)1234567 9. 상현중(尙賢中)123456789101112131415 10. 상현하(尙賢下)123456789 11. 상동상(尙同上)123456 12. 상동중(尙同中)1234567891011121314 13. 상동하(尙同下)123456789 14. 겸애상(兼愛上)1234 15. 겸애중(兼愛中)12345678 16. 겸애하(兼愛下)12345678910111213141516 17. 비공상(非攻上)123 18. 비공중(非攻中)12345678 19. 비공하(非攻下)123456789..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ggpH/btrEgu9YwZ4/3E8SwmKMy2RMeNuLT70Bl1/img.jpg)
전국책(戰國策) 목차 유향(劉向) 1. 동주(東周) & 서주(西周) 동주책(東周策)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서주책(西周策)1234567891011121314151617 2. 진책(秦策) 진책 일(秦策 一)123456789 진책 이(秦策 二)12345678910111213141516 진책 삼(秦策 三)123456789101112131415161718 진책 사(秦策 四)12345678910 진책 오(秦策 五)12345678 3. 제책(齊策) 제책 일(齊策 一)1234567891011121314151617 제책 이(齊策 二)1234567 제책 삼(齊策 三)123456789101112 제책 사(齊策 四)1234567891011 제책 오(齊策 五)1 재책 육(齊策 六)123..
ㄱ 江南女(강남녀) 見乞兒(윤현) 江上女子歌(이광정) 觀鄭元伯霧中畫毗盧峯(이병연) ㄴ 臘月九日行(신광수) 農家歎(정래교) ㄷ ㅁ 聞國令禁農餉淸酒白飯(이규보) 聞丐歌(송순) ㅂ 伐木行(성현) 奉旨廉察到積城村舍作(정약용) 白紵行(체제공) ㅅ 愁洲客詞(박제가) 四月十五日(이안눌) 山有..
한국한시 ㄱ 寄無悅師(김제안) 江水(김구용) 觀物吟(고상안) 客中偶吟 奉贈端午問安使 問安使(김류) 金剛道中(강백년) 涇州龍朔寺(박인범) 賞蓮(곽예) 歧灘 / 舟行(신최) 畿南卞僧愛女史(신위) 溪橋中斷兩成洄(이미) 過江川舊莊(이현) 鏡浦泛舟(안축) 感秋(이민구) 觀魚臺(이민구) 寄僧(이주..
여행기 목차 1. 단기 여행 ㄱ 2010 경주에서 신라를 보다 2012 강화도 여행 2012광주와 오월묘지 2014 인천 석모도여행 2014 강동 그린웨이캠핑장 2015 가평 유명산 여행 2015 가평 도마천여행 2015 군산과 장미동 2016 강촌 스키여행 2016 가평 유명산 여행 ㄴ 2009 노무현을 보내며 2016 남한산성 트래킹 ..
열자(列子) 목차 열어구(列禦寇) 1. 천서(天瑞) 1234567891011 2. 황제(黃帝)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 3. 주목왕(周穆王) 12345678910 4. 중니(仲尼) 12345678910111213 5. 탕문(湯問) 123456789101112131415 6. 역명(力命) 12345678910111213 7. 양주(楊朱) 12345678910111213141516 8. 설부(說符)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 인용지도
1. 屈原 離騷經 漁父辭 賈誼 過秦論 弔屈原賦 諸葛孔明 出師表 後出師表 陶淵明 歸去來辭 五柳先生傳 李太白 春夜宴桃李園序 與韓荊州書 韓愈 原人 原道 重答張籍書 上張僕射書 爲人求薦書 答陳商書 與孟簡尙書書 送浮屠文暢師序 平准西碑 南海神廟碑 爭臣論 送窮文 進學解 柳子厚墓..
목차 13.11.11(월) 화엄사 ⇒ 노고단 불안을 품은 동지들이여 지리산의 가을정취와 화엄사에서의 점심공양 함께 걷기에 우린 노고단에 올 수 있었다 열정으로 우린 노고단에 올랐다 13.11.12(화) 노고단 ⇒ 연하천 지리산 입산시간 지정제와 비박금지 우린 등산하며 공부한다 나의 편함 뒤엔 ..
목차 0. 녹취록 1. 집에서 별로 나가지 않는 인문학자가 들려주는 교육이야기 사람을 모이게 하고 시공간을 초월하게 하는 이야기의 힘 우치다 쌤의 별명과 그 이유 인문학자가 교육을 말한다는 것의 의미 2. 어디서도 듣지 못한 우치다 타츠루의 교육이야기 우치다의 책은 역설로 가득하..
한문이란 늪에 빠지다 1. 소화시평 스터디와 한문공부 소화시평 스터디, 한문공부의 방향을 잡게 하다 스터디로 배운 내용을 나만의 방식으로 정리하다 1월부터 생각지도 못하게 열공하게 되다 2. 30년을 해야 전문가가 된다 성재 덕에 만들어진 뒷풀이 자리 30년을 해야 진정한 전문가 3. ..
목차 1. 글쓰기 방식의 변화와 블로그 공개적인 글쓰기의 시작과 블로그에 담기는 강연 기록 다음 블로그에 찾아온 두 가지 변화 브런치와의 만남 블로그를 공부장으로 삼다 2. 다음블로그와 티스토리 티스토리와의 만남 다음블로그와 티스토리 티스토리와 함께 2019년을 3. 티스토리와 구..
그린비에서 호모 부커스 2.0 프로젝트를 한창 진행하고 있었던 2008년 10월, 저는 다른 회사에 다니고 있었습니다. 아마 그린비로 날아가느냐 마느냐를 두고 머리를 싸매고 고민하고 있었을 때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변명입니다만 그래서, 전 이런 프로젝트가 있는지도 몰랐습니다. 제 코가 석 자였으니까요(-_-;). 어쨌든 전 그린비로 날아왔고 어쩌다 보니 『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2.0』의 편집을 맡게 되었습니다. 작업을 하면서 문득 든, 부질없는 생각, “나도 (원고를) 내 볼걸 그랬네. 후훗”. 그리하야 원고 공모 기간은 지났건 말건, 심사도 다 끝나고 책도 나왔건 말건, 주제는 뭐였건 말건 편집 후기를 대신해서 저의 부실한 독서간증 시간을 한번 가져 볼까 합니다(책 나올 때마다 쓰는 편집 후긴데..
책으로 맺은 저자-독자-출판사의 특별한 삼자대면!― 독자가 저자가 되어 만들어낸 버전 업 독서론! 2008년에 출간한 『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이권우 지음, 이하 『호모 부커스』)의 선전은 놀라운 것이었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 성공하기 위해서, 성적을 높이기 위해서 책을 읽어야 한다는 책들 속에서 책을 ‘왜 읽어야 하는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라는 독서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 이 책은 독자들에게 소통과 변화라는 책읽기 본래의 소임을 일깨워 주었다. 당면한 실용적 목적을 위한 책읽기가 대세를 이루는 가운데 어딘가에서는 ‘진정한 책읽기’에 대해 목말라하는 독자들이 있음이 이 책을 통해 반증되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소통하는 책읽기를 위해 한 걸음 더 내딛어 보기로 했다. ‘호모 부커스’(H..
공생의 필살기 우치다의 강연 목표 어제 전주에서 500명 대상으로 했는데, 광주를 거쳐 제주에 오고 김병주 주주주주가 겹치는 거다. 어젠 ‘동아시아 평화와 교육’이란 제목의 강연이었다. 어제 불만 섞인 표정으로 불만 섞인 지적을 한 사람이 있었어요. 그리고 앞에 앉은 분들 중에 ‘..
ㄱ 권필의 전별시(서포만필) 고경명과 이달의 시를 비교 김종직 시(청창연담) 김시습의 시(지봉유설) 양촌과 호음의 금강산시 과장이란 시적허용 궁류시와 권필 감정과 시의 관계 ㄴ ㄷ 도은을 질투한 삼봉 東人論詩(신위) ㄹ ㅁ 목은이 속담으로 지은 시 ㅂ 빗소리=낙엽소리 박인량, 송에..
擢玉森森倚寺門 발탁한 옥 같이 울창하게 절문에 기댔고 僧言卓錫化靈根 스님은 “세워둔 지팡이가 영령한 뿌리로 변했지”라고 말하네. 杖頭自有漕溪水 지팡이 머리에 절로 조계수가 있으니 不借乾坤雨露恩 천지와 우로의 은택 빌릴 것 없어라. 인용 소화시평 순흥지 피서록보 백담집..
목차 1. 임용시험을 대하는 방식이 변하다 과거 임용고시에서 답안을 작성하던 방식 오랜만에 보는 시험, 변화된 답안 작성 요령 다신 하지 못할 체험을 하듯 시험을 보다 2. 2018년 한문공부 과정 스케치 예전 방식 그대로 공부하던 3월 스터디를 하고 싶어 아이들과 만나다 소화시평 스터디를 하며 새로운 공부방법을 적용하다 3. 임용 낙방에 길이 있다 A형은 나에겐 자신감 뿜뿜이었다 B형 시험 시간에 넋이라도 있고 없고 풀었음에도 10점이나 나가다 변명보단 직면을 재밌고 알찬 한문공부의 세계를 향해 인용 목차 19학년도 임용고사 후기 19학년도 임용 낙방기 20학년도 1차 임용고사 후기 20학년도 2차 임용고사 후기 20학년도 임용 낙방기
若使天下兼相愛, 國與國不相攻, 家與家不相亂, 盜賊無有, 君臣父子皆能孝慈. 若此, 則天下治. 故聖人以治天下爲事者, 惡得不禁惡而勸愛? 故天下兼相愛則治, 交相惡則亂. 故子墨子曰: “不可以不勸愛人者, 此也.” 해석 若使天下兼相愛, 國與國不相攻, 만약 천하 사람들이 서로 아끼게 ..
목차 여는 글 카자흐스탄 여행과 공감능력 13.06.14 금 경계를 넘어서다 비행기를 타고 알마티로 카자흐스탄 구수도 알마티에 설치된 한국어 교육원 13.06.15 토 정신승리란 무엇인가? 카자흐스탄 도로 인프라로 본 서구중심주의 긴장의 미학 13.06.16 일 카자흐스탄 택시는 특이하다 고려인, 카..
지순옥 할머니를 통해 고려인들이 블라디보스톡에서 우슈토베로 강제이주하게 된 과정, 그리고 우슈토베에서 살아남기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살았는지에 대한 생생한 증언을 들을 수 있었다. 지금 우리가 이렇게 자랑스런 대한민국을 만들고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는 데엔 우리 선조들..
임용공부를 시작하기 전엔 잘 몰랐던 게 있다. 단순히 하고 싶던 공부만 실컷 할 수 있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는데 망각해버린 진실이 있었기 때문이다. 수험생이 된다는 건 존재 자체가 작아진다는 걸 의미했다. 존재가 작아진다는 건 스스로 위축되고 남들 앞에 서길 꺼려하며, 여태껏 ..
雜編 庚桑楚篇 徐无鬼篇 則陽篇 蝸角之爭 外物篇 寓言篇 讓王篇 盜跖篇 說劍篇 漁父篇 列禦寇篇 天下篇
外編 騈拇篇 馬蹄篇 胠篋篇 在宥篇 天地篇 天道篇 수레바퀴 깎던 노인(輪扁) 天運篇 刻意篇 繕性篇 秋水篇 至樂篇 達生篇 山木篇 田子方篇 解衣般礡, 解衣磅礴 知北遊篇
內編 逍遙遊篇 齊物論篇 養生主篇 人間世篇 德充符篇 大宗師篇 應帝王篇
ㄱ 賈秀才傳 郭將軍傳(김석주) 김만덕 –체제공 / 정약용 琴師 金聖器(조수삼) 김종수(뱀과 곰방대) 김구용 劍女(안석경) 劒僧傳(신광수) 강가 효녀: 江上孝女傳 / 江上女子歌 ㄴ 盧克淸傳 / 玄德秀傳 낙랑공주와 호동왕자 ㄷ 대장금 ㅁ 맹사성-효심 / 검소 / 공당문답 文天祥傳(김시습) 梅..
목차 1. 맘껏 흔들리는 청춘들의 이야기, 앵두 그리고 건빵 흔들리는 청년들의 흔들리는 대화 4개월 만에 각자의 길에서 설렘을 만들어내다 마침내 임용이란 족쇄가 풀리다 2. 계획대로 안 되기에 아름다운 여행, 그리고 성인영어 엇갈림, 틀어짐의 행복 맑은 국물 해장국의 안성맞춤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