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방진 방랑자
고사성어 목차 본문
고사성어 목차
ㄱ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
각주구검(刻舟求劍) |
거안제미(擧案齊眉) |
계명구도(鷄鳴狗盜) |
|
결초보은(結草報恩) |
계륵(鷄肋) |
|
견금여석(見金如石) |
괄목상대(刮目相對) |
|
관포지교(管鮑之交) |
교주고슬(膠柱鼓瑟) |
|
과유불급(過猶不及) |
|
|
ㄴ |
노마지지(老馬之智) |
|
|
|
|
ㄷ |
독서망양(讀書亡羊) |
단장(斷腸) |
득롱망촉(得隴望蜀) |
도원결의(桃園結義) |
|
단기지교(斷機之敎) |
|
|
ㅁ |
미생지신(尾生之信) |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문전작라(門前雀羅) |
문전성시(門前成市) |
|
모수자천(毛遂自薦) |
문경지교(刎頸之交) |
|
망매지갈(望梅止渴) |
모순(矛盾) |
|
ㅂ |
백아절현(伯牙絕弦) |
배궁사영(杯弓蛇影) |
백안시&청안시(白眼視&靑眼視) |
백미(白眉) |
|
방약무인(傍若無人) |
|
|
ㅅ |
삼고초려(三顧草廬) |
삼인성호(三人成虎) |
새옹지마(塞翁之馬) |
숙오음덕(叔敖陰德) |
|
수석침류(漱石枕流) |
|
|
|
|
|
ㅇ |
와각지쟁(蝸角之爭) |
여도지죄(餘桃之罪) |
아장동사(我將東徙) |
의려이망(倚閭而望) |
|
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부지리(漁父之利) |
|
이여반장(易如反掌) |
양두구육(羊頭狗肉) |
|
읍참마속(泣斬馬謖) |
완벽(完璧) |
|
와신상담(臥薪嘗膽) |
여세추이(與世推移) |
|
야서구혼(野鼠求婚) |
|
|
ㅈ |
조갑천장(爪甲穿掌) |
중석몰촉(中石沒鏃) |
절부지의(竊鈇之疑) |
지록위마(指鹿爲馬) |
|
전화위복(轉禍爲福) |
지음(知音) |
|
지어지앙(池魚之殃) |
조강지처(糟糠之妻) |
|
ㅊ |
청출어람(靑出於藍) |
|
ㅍ |
패령자계(佩鈴自戒) |
|
ㅌ |
퇴고(推敲) |
토사구팽(兎死狗烹) |
ㅎ |
할고공친(割股供親) |
해옹호구(海翁好鷗) |
현두자고(懸頭刺股) |
형제투금(兄弟投金) |
|
호가호위(狐假虎威) |
화사첨족(畵蛇添足) |
|
화룡점정(畵龍點睛) |
한단학보(邯鄲學步) |
|
현설지공(螢雪之功) |
해의반박(解衣般礡) |
|
효빈(效顰) |
|
|
|
들어가는 글 - 고사성어와 한바탕 춤을 춰야 하는 이유? |
|
|
|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