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임용/[전공] 산문&한시&소설 (8)
건방진 방랑자
ㄱ 江南女(강남녀) 見乞兒(윤현) 江上女子歌(이광정) 觀鄭元伯霧中畫毗盧峯(이병연) ㄴ 臘月九日行(신광수) 農家歎(정래교) ㄷ ㅁ 聞國令禁農餉淸酒白飯(이규보) 聞丐歌(송순) ㅂ 伐木行(성현) 奉旨廉察到積城村舍作(정약용) 白紵行(체제공) ㅅ 愁洲客詞(박제가) 四月十五日(이안눌) 山有..
1. 屈原 離騷經 漁父辭 賈誼 過秦論 弔屈原賦 諸葛孔明 出師表 後出師表 陶淵明 歸去來辭 五柳先生傳 李太白 春夜宴桃李園序 與韓荊州書 韓愈 原人 原道 重答張籍書 上張僕射書 爲人求薦書 答陳商書 與孟簡尙書書 送浮屠文暢師序 平准西碑 南海神廟碑 爭臣論 送窮文 進學解 柳子厚墓..
ㄱ 권필의 전별시(서포만필) 고경명과 이달의 시를 비교 김종직 시(청창연담) 김시습의 시(지봉유설) 양촌과 호음의 금강산시 과장이란 시적허용 궁류시와 권필 감정과 시의 관계 ㄴ ㄷ 도은을 질투한 삼봉 東人論詩(신위) ㄹ ㅁ 목은이 속담으로 지은 시 ㅂ 빗소리=낙엽소리 박인량, 송에..
擢玉森森倚寺門 발탁한 옥 같이 울창하게 절문에 기댔고 僧言卓錫化靈根 스님은 “세워둔 지팡이가 영령한 뿌리로 변했지”라고 말하네. 杖頭自有漕溪水 지팡이 머리에 절로 조계수가 있으니 不借乾坤雨露恩 천지와 우로의 은택 빌릴 것 없어라. 인용 소화시평 순흥지 피서록보 백담집..
ㄱ 賈秀才傳 郭將軍傳(김석주) 김만덕 –체제공 / 정약용 琴師 金聖器(조수삼) 김종수(뱀과 곰방대) 김구용 劍女(안석경) 劒僧傳(신광수) 강가 효녀: 江上孝女傳 / 江上女子歌 ㄴ 盧克淸傳 / 玄德秀傳 낙랑공주와 호동왕자 ㄷ 대장금 ㅁ 맹사성-효심 / 검소 / 공당문답 文天祥傳(김시습) 梅..
1화: ‘열녀’라는 낙인이 사람 잡네 2화: 아들들이 상대방을 과부의 자식이란 이유로 내쫓기 위해 어머니와 상의하다 3화: 과부 어머니와 동전 4화: 이런 이야기가 전해지지 않은 것에 대한 연암의 풍자 5화: 함양댁이 남편 3년 상을 마치고 자살하다 6화: 자살한 과부의 미담 7화: 이 기록..
1화: 양생, 불상과 저포놀이하다 남원의 양생은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만복사에서 외롭게 지냄 ⇒ 밤마다 짝이 나타나길 간절히 바라는 시를 읊음 ⇒ 어느 날은 하늘에서 ‘짝을 내려 주겠다’는 소리가 들림 ⇒ 이튿날은 3월 24일로 이 날엔 해마다 남원의 남녀들이 모임 ⇒ 법당에서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