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임용 (24)
건방진 방랑자
고사성어 목차 ㄱ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각주구검(刻舟求劍) 거안제미(擧案齊眉) 계명구도(鷄鳴狗盜) 결초보은(結草報恩) 계륵(鷄肋) 견금여석(見金如石) 괄목상대(刮目相對) 관포지교(管鮑之交) 교주고슬(膠柱鼓瑟) 과유불급(過猶不及) ㄴ 노마지지(老馬之智) ㄷ 독서망양(讀書亡羊) 단장(斷腸) 득롱망촉(得隴望蜀) 도원결의(桃園結義) 단기지교(斷機之敎) ㅁ 미생지신(尾生之信)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문전작라(門前雀羅) 문전성시(門前成市) 모수자천(毛遂自薦) 문경지교(刎頸之交) 망매지갈(望梅止渴) 모순(矛盾) ㅂ 백아절현(伯牙絕弦) 배궁사영(杯弓蛇影) 백안시&청안시(白眼視&靑眼視) 백미(白眉) 방약무인(傍若無人) ㅅ 삼고초려(三顧草廬) 삼인성호(三人成虎) 새옹지마(塞翁之馬) 숙오음덕(叔敖陰德) 수석침류(漱石枕..
ㄱ 江南女(강남녀) 見乞兒(윤현) 江上女子歌(이광정) 觀鄭元伯霧中畫毗盧峯(이병연) ㄴ 臘月九日行(신광수) 農家歎(정래교) ㄷ ㅁ 聞國令禁農餉淸酒白飯(이규보) 聞丐歌(송순) ㅂ 伐木行(성현) 奉旨廉察到積城村舍作(정약용) 白紵行(체제공) ㅅ 愁洲客詞(박제가) 四月十五日(이안눌) 山有..
한국한시 ㄱ 寄無悅師(김제안) 江水(김구용) 觀物吟(고상안) 客中偶吟 奉贈端午問安使 問安使(김류) 金剛道中(강백년) 涇州龍朔寺(박인범) 賞蓮(곽예) 歧灘 / 舟行(신최) 畿南卞僧愛女史(신위) 溪橋中斷兩成洄(이미) 過江川舊莊(이현) 鏡浦泛舟(안축) 感秋(이민구) 觀魚臺(이민구) 寄僧(이주..
1. 屈原 離騷經 漁父辭 賈誼 過秦論 弔屈原賦 諸葛孔明 出師表 後出師表 陶淵明 歸去來辭 五柳先生傳 李太白 春夜宴桃李園序 與韓荊州書 韓愈 原人 原道 重答張籍書 上張僕射書 爲人求薦書 答陳商書 與孟簡尙書書 送浮屠文暢師序 平准西碑 南海神廟碑 爭臣論 送窮文 進學解 柳子厚墓..
ㄱ 권필의 전별시(서포만필) 고경명과 이달의 시를 비교 김종직 시(청창연담) 김시습의 시(지봉유설) 양촌과 호음의 금강산시 과장이란 시적허용 궁류시와 권필 감정과 시의 관계 ㄴ ㄷ 도은을 질투한 삼봉 東人論詩(신위) ㄹ ㅁ 목은이 속담으로 지은 시 ㅂ 빗소리=낙엽소리 박인량, 송에..
擢玉森森倚寺門 발탁한 옥 같이 울창하게 절문에 기댔고 僧言卓錫化靈根 스님은 “세워둔 지팡이가 영령한 뿌리로 변했지”라고 말하네. 杖頭自有漕溪水 지팡이 머리에 절로 조계수가 있으니 不借乾坤雨露恩 천지와 우로의 은택 빌릴 것 없어라. 인용 소화시평 순흥지 피서록보 백담집..
ㄱ 賈秀才傳 郭將軍傳(김석주) 김만덕 –체제공 / 정약용 琴師 金聖器(조수삼) 김종수(뱀과 곰방대) 김구용 劍女(안석경) 劒僧傳(신광수) 강가 효녀: 江上孝女傳 / 江上女子歌 ㄴ 盧克淸傳 / 玄德秀傳 낙랑공주와 호동왕자 ㄷ 대장금 ㅁ 맹사성-효심 / 검소 / 공당문답 文天祥傳(김시습) 梅..
19. 밑줄 친 ㉠~㉤ 중 서술어와 목적어가 도치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吾以子爲㉠異之問 曾由與求之問. - 『논어』 ○ 孟嘗君曰 ㉡客何好 曰客無好也 -『戰國策』 ○ 齊侯曰 豈不穀是爲 ㉢先君之好是繼 -『左傳』 ○ 吾少孤 及長不省所怙 ㉣惟兄嫂是依 -『祭十二郞文』 ○ 永歌之不足..
9. 다음 문장을 지도하기 위하여 관련 있는 자료를 고전 문헌에서 수집하고자 한다. 밑줄 친 ㉠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孟子曰:“君子深造之以道, 欲其自得之也. 自得之, 則居之安; 居之安, 則資之深; 資之深, 則取之左右逢其原, 故君子..
[4~5]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학습목표 (가) 한자어의 짜임을 안다. (나) 산문의 내용을 이해한다. 본문 南齊庾黔婁爲孱陵令 到縣未旬 父易㉠在家遘疾 黔婁忽心驚 擧身流汗 ㉡卽日棄官歸家 ㉢家人悉驚其忽至 時 易疾 始二日 醫云欲知ⓐ差劇 但嘗糞㉣甛苦 易泄利 黔婁輒取嘗之 味..
‘단어의 짜임’은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말한다. 단어의 짜임은 문법적 기능에 따라 주술(主述) 관계, 술목(述目) 관계, 술보(述補) 관계, 수식(修飾) 관계, 병렬(竝列) 관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술 관계는 주어(主語)와 서술어(敍述語)의 관계로 이루어진 ..
2. 다음 자료를 활용하여 선인들의 삶의 지혜를 배우는 학습활동을 구상하였다. 이 글의 주제를 담고 있는 단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5점] 獸有鼠屬而黃者 俗號爲黃獷 多產於西北方之山 尾有秀毛可爲筆 其美擅天下 謂之黃毛筆 吾友李生喜書 嘗乞於人而得之 毫秀而銳 色燁而澤 以爲..
15. 밑줄 친 ㉮에 나타난 孔子의 語調와 가장 비슷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魯人爲長府 閔子騫曰 仍舊貫 如之何 何必改作 子曰㉮夫人不言 言必有中 -『論語』 「先進」 ◦子貢方人 子曰 ㉠賜也賢乎哉 夫我則不暇-『論語』 ◦子曰 ㉡衣敝縕袍 與衣狐貉者立 而不恥者 其由也..
13. ㉠~㉣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苟志於( ㉠ )矣 無惡也 -『論語』 ◦君子之於天下也 無適也 無莫也 ( ㉡ )之與比 -『論語』 ◦君子謀( ㉢ ) 不謀食 耕也 餒在其中矣 學也 祿在其中矣 -『論語』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 ㉣ ) 齊之以禮 有恥且格 -『論語』 ㉠ ㉡ ㉢ ..
14. 다음 글의 내용과 가장 관계있는 것은? [2.5점] 【원문】子在川上曰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집주】天地之化 往者過 來者續 無一息之停 乃道體之本然也 然其可指而易見者 莫如川流 故於此發以示人 欲學者時時省察 而無毫髮之間斷也 -『論語』 「子罕」 ① 人各親其親 然後不獨親其..
26. 다음 글에서 말하는 문학론이 가장 잘 반영된 것은? [2.5점] 歷代而夏殷周也漢也晉也宋齊梁陳隋也唐也宋也元也 如一代 各自有一代之詩焉 列國而周召也邶鄘衛鄭也齊也魏也唐也秦也陳也 一國不如一國 別自有一國之詩焉 三十年而世變矣 百里而風不同矣 奈之何生於大淸乾隆之年 居於..
18. 밑줄 친 ‘以’의 쓰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仁者㉠以財發身 不仁者以身發財 - 『大學』 ◦無㉡以巧勝人 無以謀勝人 無以戰勝人 - 『莊子』 「徐無鬼」 ◦子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得之 不處也 - 『論語』 「里仁」 ◦士未可以言而言 是㉣以言餂之也 可以言而不..
17. 다음 글의 내용으로 보아 ㉠~㉣에 들어갈 문장으로 알맞은 것은? [2.5점] ◦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 詩曰 ( ㉠ ) 子曰 父母其順矣乎 -『中庸』 ◦孟子曰 民事不可緩也 詩云 ( ㉡ ) 民之爲道也 有恒産者有恒心 無恒産者無恒心 苟無恒心 放辟邪侈 無不爲已 及陷乎罪 然..
16. 다음 글의 내용으로 보아 맹자가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孟子居鄒 季任爲任處守 以幣交 受之而不報 處於平陸 儲子爲相 以幣交 受之而不報 他日由鄒之任 見季子 由平陸之齊 不見儲子 屋廬子喜曰 連得間矣 問曰 夫子之任見季子 之齊不見儲子 爲其爲相與 曰 非也 書曰 享多儀 儀不..
5. 다음 문장을 영역별 학습 내용에 따라 각각 지도하고자 한다. ㉠, ㉡에 들어갈 말로 모두 알맞은 것은? 학습 목표 ◦한문 단문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본 문 君子 易事而難說也 說之不以道 不說也 - 『論語』 「子路」 지도 내용 ㉠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음을 가지는 경우가 ..
1화: ‘열녀’라는 낙인이 사람 잡네 2화: 아들들이 상대방을 과부의 자식이란 이유로 내쫓기 위해 어머니와 상의하다 3화: 과부 어머니와 동전 4화: 이런 이야기가 전해지지 않은 것에 대한 연암의 풍자 5화: 함양댁이 남편 3년 상을 마치고 자살하다 6화: 자살한 과부의 미담 7화: 이 기록..
1화: 양생, 불상과 저포놀이하다 남원의 양생은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만복사에서 외롭게 지냄 ⇒ 밤마다 짝이 나타나길 간절히 바라는 시를 읊음 ⇒ 어느 날은 하늘에서 ‘짝을 내려 주겠다’는 소리가 들림 ⇒ 이튿날은 3월 24일로 이 날엔 해마다 남원의 남녀들이 모임 ⇒ 법당에서 저..
歲干支仲秋之月, 其日癸未. 織屨兪叟君業, 以疾終于江華下道尹汝化之隟舍. 壽七十, 無子. 厥明, 里三老集于汝化, 謀所以送叟者, 汝化來告余. 余予之以弗茹之地, 俾瘞之. 且爲之誌, 有字無名, 無譜無籍, 傷也. 其死可得以詳, 而其生則闕也. 叟中歲獨身流寓, 與汝化爲主客, 三十年. 樸吶無..